건양사이버대학교 로고,
학생이 체감할 수 있는 교육혁신!
건양사이버대학교가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.
KONYANG CYBER UNIVERSITY
원격대학 인증ㆍ역량 평가 획득(교육부, 한국교육학술정보원, 한국원격대학협의회)
교육부, 한국교육학술정보원, 한국원격대학협의회 주관 2020년 원격대학 인증ㆍ역량진단 인증 획득
교육운영 및 효과의 우수성, 경영 측면의 투명성과 공정성 공식 인정
- 대학경영과 재정분야
- 교육과정 분야
- 수업 콘텐츠 분야
- 교직원 분야
- 학생 분야
- 원격교육 인프라 분야
각 분야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학생과 지역사회가 함께 만드는 공유형 대학으로 거듭나겠습니다.
현장 전문 역량 강화를 위한 직업·직무 교육콘텐츠 개발 및 운영(교육부, 한국교육학술정보원, 한국원격대학협의회)
3년 연속 성인학습자 역량강화 단기교육과정 개발 콘텐츠 사업 선정
KOCW(Korea Open Cuurse Ware) 고등교육 교수학습자료 공동활용 및 대국민 무료 공개
돌봄인력 대상 직업·직무 역량 강화 콘텐츠 개발 사업 선정
- 1차년도(2018). SCMP 시니어케어매니지먼트 프로그램
- 2차년도(2019). SDMP 시니어디렉터매니지먼트 프로그램
- 3차년도(2020). SIEP 이주사회 정착ㆍ통합교육 프로그램
- 서울시사회서비스원 돌봄인력 1차년도 교육실습콘텐츠(개발 및 제작 2022)
- 서울시사회서비스원 돌봄인력 2차년도 교육실습콘텐츠(개발 및 제작 2023)
대국민 지식공유를 위한 무료 공개강의 개발 및 운영
(교육부, 국가평생교육진흥원, K-MOOC)
- 1. 개별강좌 K-MOOC 콘텐츠 사업 선정
DT(Digital Transformation)시대: 온택트 교육학 개론 트렌드업스타일 사회복지 회계행정의 이해 현장중심 Proto-Typing 기반 한국어 교수법 -
2. 묶음강좌 K-MOOC 콘텐츠 사업 선정
국제개발협력 전문인력 양성 Roadmap to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-
3. 학점은행제 K-MOOC 콘텐츠 사업 선정
응용업스타일 효과적인 성인교육방법 사회복지 시설운영론
K-에듀, '글로벌 포용과 협력' 가치 실현(KOICA, 교육부, 한국교육학술정보원)
국가 핵심전략 신남방 정책과 K-에듀 통합교육플랫폼 구축 지원
젠더 이슈 및 범 국가적 차원의 문제 해소를 위한 여성 취ㆍ창업 역량 강화 사업
- 1. KOICA 민관협력 시민사회협력 프로젝트(2019~2011)
- 캄보디아 헤어&뷰티 산업분야 종사자 ICT-기반 직업훈련사업으로 을 통해 현지 직업훈련교육센터 구축과 캄보디아 최초의 준학사 과정을 운영해 여성종사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이 직업훈련과정을 통한 직접수혜자수 150명, 간접수혜자는 총 270명입니다. - 2. ACU 아세안 대학 이러닝 지원사업 4년 연속 선정(2016~2019)
- 개도국인 캄보디아 공과대학(ITC), 국립우정동신대학(NIPTICT) 이러닝 컨설팅 실행을 목표로 ICT 측면의 무들(Moodle) LMS 및 콘텐츠 개발/관리를 제공 및 다양한 사업을 진행했습니다. 교류국가 강좌지원 확대의 기대효과, 누적 강좌수는 33강좌, 수강인원은 1,833명입니다. - 3. 아세안 사이버대학 프로젝트(2023~현재)
- ACU-OER 플랫폼 활용 교육과정 공동운영을 위해 왕립프놈펜대학(RUPP)과 캄한협력센터(CKCC)와의 업무 협약을 맺어 국내 고등교육기관 및 평생교육기관의 우수한 교육 콘텐츠를 아세안 대학과 공동운영함으로써 국내의 우수한 교육 콘텐츠가 아세안 대학에 확산되기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 - 4. 글로벌 나눔을 위한 해외 봉사활동 프로그램(2023~현재)
- 건양사이버대학교 해외봉사활동은 우리 대학의 교육이념인 인류 봉사의 정신을 세계에 구현하고, 학생과 교직원의 인류애 실천과 글로벌 시민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프로그램 입니다. 해외봉사단은 2023년을 시작으로 김안과병원과 로터스월드(국제개발협력 NGO)와 협력하여 캄보디아 현지 지역주민 및 취약계층 약 3,600여 명(연 1회, 8일간)을 대상으로 의료 지원 활동을 매년 수행하여 글로벌 나눔을 실천하고 있습니다.
소외 및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공헌 실현(여성가족부, 법무부, 대전광역시 서구)
사회적 취약계층의 사회 진출 지원
사회공헌을 목표로 다양한 프로젝트 사업 운영
- 1. 북한이탈여성 동료 상담원 양성 사업 선정(2020)
- 북한이탈여성 대상 전문자격과정을 통해 취업가능성과 어려움을 해소를 위한 양성평등지도자 과정(가정폭력 상담원) 운영을 목표로 합니다. 이 과정을 통해 총장 명의의 가정폭력 관련시설종사자 수료증 취득, 가정폭력 예방 강사로 활동, 전국 가정폭력상담소, 건강가정지원센터, 북한이탈주민 대상 상담관련 기관 등에 취업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- 2. 사회통합프로그램 거점운영기관 선정(2020~현재)
- 이민자가 한국사회 구성원으로 적응ㆍ자립하는데 필요한 기본소양을 습득할 수 있도록 사회통합교육을 체계적으로 제공함을 목표로 합니다. 한국어와 한국문화, 한국사회 이해 교육과정 개설 및 운영, 교육단계 배정을 위한 사전평가 및 교육단계별 평가 업무 수행, 기타 교육, 상담 실시 등의 프로젝트 수행전략을 통해 국가 신성장동력 인재로 급부상한 이민자들의 역량강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 - 3. 성폭력, 가정폭력 상담원 교육훈련시설 선정(2019~현재)
- 성폭력,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 상담원 교육을 목표로 합니다. 일반인 재학생의 폭넓은 학습기회 제공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사회적 이슈 예방 및 상담 전문가를 양성합니다. - 4. 장애학생지원센터 운영사업 선정(2021~현재)
- 장애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는 학습환경이 구축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장애학생에게 필요한 이동, 대필, 대학 내 생활 지원, 수화 통역, 속기 등의 학습과 보조기기 등을 지원하여 안정적인 대학생활과 적응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 - 5. 세종학당 통번역 교육과정 현지 시범운영 학술연구용역 선정(2023~현재)
- 한국어 보급과 확장, 세종학당의 교육적 가치 확대에 기여함은 물론, 궁극적으로 세계에 한국어를 문화로써 받아들이고 국가 위상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. 학술연구를 통해 교재ㆍ교육환경ㆍ교육과정의 완성 등 교육과정의 정밀화를 목표로 합니다. - 6. 유성형 돌봄 아카데미 사업(2024)
- 노인 의료ㆍ돌봄 통합지원 시범 사업에 참여하는 서비스 제공 인력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습형 교육 프로그램 지원을 목표로 합니다. 민관이 합동해 지역사회 중심의 맞춤형 통합돌봄 인재를 양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, 돌봄인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지원 사업을 바탕으로 지역사회 및 통합돌봄 분야의 교육 혁신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.
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대학의 역할 제고(KOICA, 교육부)
청년 일자리 창출 전략 기반, 청년의 전문 역량 체험 및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사업 운영
강사 및 신진연구자 등의 고용 안정과 지역사회 평생교육 활성화
- 1. 영프로페셔널(YP) 지원사업 선정(2019~2020)
- 청년일자리 창출 전략으로 정부에서 재원을 지원하는 인턴지원사업을 목표로 합니다. 다양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기획, 준비 및 업무지원을 담당, 인력양성 인턴제도 운영, 2년간 총 3명 영프로페셔널(YP) 배출 하였습니다. - 2. 대학 평생교육원 강좌 개설 지원사업 선정(2020)
- 지역사회 참여형 평생교육 분야 강좌 개발 및 운영, 4~34주 단기 및 중기 온ㆍ오프라인 수업 운영을 목표로 합니다. 사회복지사 1급 대비반, 치매예방을 위한 실버교구지도사, 온라인 한국어 마스터 과정, 예술치유와 자기이해, 맞춤형 화장품 조제관리사 등 실질적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 - 3. 대전형 코업(co-up) 청년뉴리더 양성사업 선정(2024)
- 대전형 코업(co-up) 청년뉴리더 양성사업은 대전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산업현장 일 경험을 통해 진로 탐색 및 조기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생에게 다양한 일자리 경험 기회를 제공하고 우수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.
대학의 설립목적과 교육철학의 실현(교육부, 한국원격대학협의회)
대학 경영의 투명성과 공정성, 국민의 알 권리 보장
- 대학정보공시 운영협력대학 선정(2020~2023) 사이버대학교 최초, 4년 연속
- 우리 대학은 운영협력대학으로 선정됨으로써 고등교육기관의 기본운영 상황과 교육ㆍ연구 여건 등에 대한 주요정보를 홈페이지 및 대학알리미에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해 전국 40개교(사이버대중 유일)와 함께 협력하고 있습니다.
지역사회와 함께 풀뿌리 평생교육 기회 제공(대전광역시교육청, 대전평생교육진흥원)
- 1. 대전광역시교육감 지정 평생학습관 사업(2023~2024)
- 지식기반사회에 부응하고 누구나 평등한 교육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역 특성 및 교육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평생학습 사회 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교육청과 범 협력적 교육 운영 체계를 구축하고 청년, 복지기관 종사자, 지역 미용인,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으로 프로그램 고도화를 위해 운영 목표, 교육과정 심의 및 만족도 평가 등의 추진 절차 등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. - 2. 대전광역시교육청 특수분야 직무연수 사업(2023)
- 대전‧충청권 유ㆍ초ㆍ중등교사와 교육 전문직을 대상으로 진행된 1인 1기 생활 체육 배우기 과정은 골프 지도 능력 향상과 생활 체육으로서 학생 지도 능력의 향상을 운영 목표로 합니다. - 3. 생활권 중심 평생학습 사업(2023)
- 대전 평생교육진흥원 주관 생활권 중심 평생학습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지역 재범방지 및 법무보호 복지사업의 이해를 목표로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운영하고 있습니다.
콘텐츠 담당 기획예산팀
연락처 042-722-0035
최종 업데이트 2024. 10. 28.